전체기사보기
-
-
中 단체관광객, 내일(29일)부터 무비자 입국…관광업계 '국경절 특수' 기대감 고조
-
-
내일(29일)부터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대한민국 무비자 입국이 허용된다. 침체된 내수 경기와 관광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조치로, 10월 1일부터 시작되는 중국의 국경절 황금연휴를 앞두고 관광업계의 기대감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8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관광 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9월 29일부터 2026년 6월 30일까지 약 9개월간 한시적으로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대한 비자 면제 제도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에 따라, 3인 이상의 중국인으로 구성된 단체 관광객은 비자 없이 한국에 입국해 최대 15일간 국내 전역을 여행할 수 있다. 이는 지난해 11월부터 중국이 한국 국민에게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 것에 대한 상호주의적 조치이기도 하다.
당장 중국 최대의 황금연휴인 국경절(10월 1일~8일) 기간 동안 약 10만 명 이상의 중국인 관광객이 한국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명동과 홍대 등 주요 관광지의 상점들은 중국어 안내문을 재정비하고 알리페이, 위챗페이 등 중국인 관광객을 위한 결제 시스템 점검을 마쳤으며, 면세점과 백화점 업계도 대규모 할인 행사를 기획하는 등 '유커(游客·중국인 관광객)' 맞이에 분주한 모습이다.
정부는 불법 체류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입국 전 여행사가 제출한 명단을 통해 고위험군을 사전 선별하고, 무단이탈자가 다수 발생하는 여행사에 대해서는 단체관광객 유치 자격을 박탈하는 등 강력한 행정 제재를 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이번 무비자 입국 허용이 방한 관광 시장 회복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K-컬처와 연계한 다양한 관광 상품을 개발해 관광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실질적인 내수 진작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2025-09-28
-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디지털 대한민국' 심장이 멈췄다
-
-
26일 오후 8시 15분경, 대한민국 행정·공공 전산 시스템의 핵심부인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화재가 발생해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등 주요 대국민 서비스가 전면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화재는 화재발생 후 약 22시간만인 27일 오후 6시께 완전 진화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불은 전산실 내 무정전전원장치(UPS)의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현장에서는 배터리 교체 작업이 진행 중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작업자 1명이 화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번 화재로 정부 부처 홈페이지와 온라인 민원 서비스인 '정부24', '국민신문고', '모바일 신분증' 등이 접속 장애를 일으켰으며, 119 문자 및 영상 신고 시스템 등 국민 안전과 직결된 일부 시스템도 영향을 받았다.
행정안전부는 화재 발생 직후 재난 위기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했으며, 27일 오전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를 가동해 범정부적 대응에 나섰다.
화재 진압은 데이터 손상을 우려해 초기에는 이산화탄소 가스 소화 설비를 사용하는 등 난항을 겪었으며, 27일 새벽이 되어서야 큰 불길이 잡혔다. 하지만 이미 핵심 서버와 장비들이 화재와 단전의 영향을 받아 복구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긴급 관계 부처 장관 회의를 소집하고 시스템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를 조사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국가 핵심 데이터 시설의 재난 대비 시스템과 백업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재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
2025-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