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18(토)
 
 

거시경제 지표 현황(중국소개)





1.GDP 성장 

‘10 년 중국 GDP 는 39.8 조 위엔 ( 약 6.0 조불 ) 으로 전년대비 10.3% 증가

1 차 산업 : 4.05 조 위엔 (4.3%↑), 2 차 산업 : 18.65 조 위엔 (12.2%↑), 3 차 산업 : 17.1 조 위엔 (9.5%↑)

국가별 순위는 미국에 이어 세계 2 위 , 1 인당 GDP 는 4,492 불



2.산업 

-중국의 산업은 1978 년 개혁개방 이후 ‘80~'90 년대의 양적 확대에서 ‘00 년대 이후 산업고도화와 고부가가치화가 진행

 개혁개방 이래 풍부한 노동력 , 이공계 인재축적 , 시장경쟁 도입을 통해 제조업 중심의 공업이 빠르게 성장하였으나 , 최근 서비스업이 크게 성장 , 산업 내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 (IT, 금융산업이 빠르게 성장 )

* ‘10 년 말 현재 1 차 , 2 차 , 3 차 산업 점유비중은 10:47:43



3.소비 및 물가 

1) 소 비

 ‘10 년 소비품 판매총액은 15.7 조 위엔으로 , 지난해 대비 18.3% 증가했으며 , 증가율은 ‘09 년 대비 2.8% 포인트 상승

- 지역별 : 도시 13.6 조 위엔 (18.7%↑), 농촌 2.1 조 위엔 (16.2%↑)


 경제성장 및 소득증가에 따른 전반적인 소비수준 제고 , 상품구매에서 서비스 구매로 소비패턴 변화

* 도시주민 및 중산층이 소비시장 주도 . 단 , 정부의 농촌지역 지원정책 및 농민소득 향상에 따라 농촌 소비시장 지속성장 전망

* 낮은 소비율과 저소득층의 소비제약이 중국 내수 부양의 걸림돌로 지적


 최근 중국 소비시장의 주요 변화

* 주요 소비품은 가전제품류에서 주택 , 자동차 , 통신기기 등 고급 ㆍ 고가의 내구성 소비재로 전환

* 관광 ㆍ 요식 등 서비스업 소비시장의 빠른 성장 및 고가품과 저가품의 소비 양극화 발생

* 체인점 및 외자유통기업 증가 등 소비재 유통환경 변화


 중국정부는 재정지출 및 통화공급의 확대 , 금리인하와 같은 정책을 통해 소비진작을 위해 노력

* 자동차 , 여행 , 가전 , IT 시장의 확대와 이에 대한 민간수요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 시행 중.


2) 물 가

 중국은 2000 년 이후 고성장 , 저물가 기조를 유지해 왔으나 , ‘09 년 금융위기 영향으로 하락 안정세를 유지했으나 ‘ 10 년 연초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나타냄


 가파른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10 년 한해 동안 지준율  4 차례 인상 , 금리 2 차례 인상 및 시장수급 조절노력 등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 ‘10 년 4/4 분기 4.7% 상승하였는바 , 물가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 긴축정책 실시


4.대외무역 

 ‘10 년 중국의 대외무역액은 2.97 조 불로 ‘09 년 대비 34.7% 증가

* 수출 1.57 조불 (31.3%↑), 수입 1.39 조불 (38.7%↑), 무역흑자 1,831 억불 (‘09 년 대비 130 억불 감소 )


5.고정자산투자 

 고정자산투자는 지난 ‘96년 이후 14년 연속 두 자리 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중국 경제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

* ‘10 년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23.8% 로 ‘09 년 30.1% 대비 소폭 하락

* 사회간접자본 투자 및 중서부지역 투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등 산업별 , 지역별로 차별화된 투자정책 시행


6.외국인 투자 

 외국인의 對중국투자는 ‘07 년 748 억불 , ‘08 년 924 억불 , ‘09 년 900 억불에 이어 ‘10 년 1,057 억불을 기록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세 유지

* 최근 ①선별적 외자유치정책 , ②중국 내 생산원가 상승 및 기업 법제환경 정비 , ③수출억제정책 실시 등으로 기업환경이 과거에 비해 불리해졌음에도 불구 , 외국자본이 지속 유입되는 추세

* 한편 , 중국정부는 중서부 및 농촌지역의 투자유치 정책을 적극 시행 중


 對중국 투자 급증은 아래 몇 가지 요인에 기인

* WTO 가입 이후 거시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중국경제 체제의 개혁 및 대외개방의 점진적 확대

※ WTO 가입 이후 외국인투자 패턴이 ① ‘ 무역형 ' 에서 ‘ 생산기지 소비시장형 ' 으로 전환 ②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전환 , ③합작투자 및 R&D 투자 증가 등으로 변화

* 주민의 생활수준 향상 및 소비증가와 정부의 소비진작 정책 실시로 내수시장 확대


 중국 내 에너지절약과 환경보호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동 분야의 외국인 투자 및 기술유치를 특히 장려하고, 오염물 방출기업에 대해서는 엄격히 처벌하고 있는 추세임(환경평가법 제정에 이어 동법 시행세칙이 ‘08년 제정됨)


7.중국의 해외투자 

 중국정부의 해외진출전략 추진 및 무역수지 흑자 , 안정적 환율 , 충분한 외환보유고 등 해외투자에 유리한 조건이 성숙됨에 따라 , 최근 중국기업의 해외진출을 독려

- ‘10 년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590 억불로 전년 동기 대비 36.3% 증가

* 기존의 해외직접투자 , M&A, 해외공사수주 , 노무인력송출 등을 통한 해외진출방식 외 , 최근 국부펀드 ( 중국투자공사 ) 를 통한 해외투자 및 국유기업을 통한 해외자본시장투자가 가속화 되는 등 투자방식이 점차 다양화 되고 있는 추세

* 원유 , 가스 , 광물자원에 대한 투자확대로 세계자원시장에서 영향력 확대




태그

BEST 뉴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거시경제 지표 현황(중국소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