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가스 • 中구풍에너지 연 3억불 규모 LPG 공급 MOU 체결 등 - |
□ 지식경제부(장관 최중경)는 9.20(화) 오전, 서울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중국 광동성 정부와 공동으로『제 2회 한-광동성 경제무역발전 포럼』을 개최
ㅇ 동 포럼은 ‘09년 11월 왕양(汪洋) 광동성 당서기 방한시 이명박 대통령께서 직접 제안하여 창설, ’10년 5월 광동성에서 제1회 포럼을 개최한 바 있음
ㅇ 이번 포럼에는 어우광위안(歐廣源) 광동성 인민대표회의 주임* 등광동성 인민정부 대표단과, 100여개의 중국기업 CEO 등을 포함하여 한-중 경제인 약 250여명이 참석
* 인대주임(어우광위안)은 왕양 당서기에 이어 서열 2위, 광동성장은 3위
ㅇ 경제성장의 신동력산업인 “첨단산업 및 에너지분야 한-중 협력 증진 방안”에 대하여 심도있게 논의함
□ 광동성은 중국에서 가장 빠른 개혁과 개방으로 중국경제를 선도하고 있는 지역으로, 중국 31개 성․시중 22년째 GDP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ㅇ 우리나라와의 교역액도 중국 성․시 가운에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우리기업의 지속적인 진출이 이루어지고 있음
□ 이번 포럼을 통해, SK가스(주), 한국전력기술(주) 등 국내기업과 광동성기업간 협력 MOU 2건이 체결되었으며, “비즈니스 상담회”와 “투자유치 IR”도 성황리에 개최됨
* SK가스(주)는 중국구풍에너지(유)(九丰能原)와 연간 약 3억불 규모의 LPG 공급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 한국전력기술(주)는 중국 진승환보기계(유)(振升环保机械)와 발전소 탈질설비 기술․시장개척 공동협력 MOU를 체결
□ 최 장관은 이날 포럼의 기조연설을 통해 한-중간 전략적 파트너쉽을 토대로 당면과제에 대한 긴밀한 정책적 공조와 협력을 강조하면서
ㅇ 광동성이 중점 육성하고 있는 IT, 신소재, 첨단설비제조 등 전략산업에 대한 협력과 스마트그리드, ESCO 사업 등 녹색산업분야에 대한 협력을 제안
ㅇ 이와 함께 중국기업인들의 적극적인 對韓투자와 중국진출 우리기업에 대한 중국정부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 등도 당부함
□ 지식경제부는 우리기업의 보다 활발한 중국진출을 위해서는 중국각 지방별 산업특성에 맞는 특화된 진출전략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ㅇ 향후 지역개발사업 등 실질적인 프로젝트 협상 당사자인 지방정부와의 경제협력 채널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
<참고> 1. 제2회 한-광동성 경제무역발전 포럼 계획
2. 한-광동성 교역 및 투자 현황
<참고 1>
제2회 한-광동성 포럼 개최 계획 |
1. 포럼 개요
ㅇ ‘09.11월, 광동성 왕양(汪洋) 당서기 방한시 이명박 대통령께서 ’한-광동성 경제협력포럼‘의 창설을 직접 제안
- 중국 지방정부와의 최초 장관급 경제협력 채널
ㅇ ‘10.5월 광동에서 최경환 전장관, 광동성장 참석하에 제1회 포럼 개최
2. 제2회 포럼 개최계획
ㅇ 일시․장소 : ‘11.9.20(화), 서울 COEX 인터콘티넨탈 호텔
ㅇ 주제 : 경제성장의 신동력, 첨단산업 및 에너지분야 협력 강화
ㅇ 참석 : 장관님, 광동성 인대주임 등 약 250여명
* 광동성 인대 상무위원회 주임(성장급)은 왕양당서기에 이어 서열 2위
ㅇ 주최 : (한)지식경제부, (중)광동성인민정부
- 주관 : 한국무역협회, 광동성 대외경제무역합작청, 주광저우총영사관, 광동성 외사판공실, KOTRA
- 후원 : 한국수입업협회, 중국국제무역촉진위광동성위원회
3. 주요일정
날짜 |
시간 |
주요일정 계획(안) |
9. 20 (화) |
09 : 20 ~ 09 : 30 |
VIP 환담 |
09 : 30 ~ 11 : 10 |
한-광동성 포럼 |
|
11 : 20 ~ 11 : 40 |
MOU 체결 |
|
11 : 50 ~ 13 : 30 |
오찬 |
|
14 : 00 ~ 18 : 00 |
기업인상담회투자유치 IR |
<참고 2>
한-광동성 교역 및 투자 현황 |
□‘10년 기준 광동성은 강소성에 이어 한국의 2번째 교역상대지역
ㅇ ‘10년한국-광동성간 교역액은전년대비 33.4% 증가 40,903백만불로 한중 교역액(207,171백만불)의 19.7% 차지
* ‘10년 한-강소성간 교역액은 53,861백만불로 한중교역액의 25.9% 차지
ㅇ ‘10년 한국의 對광동성 수출액은 38.3% 증가한 30,995백만불, 수입액은 20.3% 증가한 9,934백만불을 기록
< 한국의 對광동성 교역현황 >
(단위 : 백만불)
구 분 |
‘04 |
‘05 |
‘06 |
‘07 |
‘08 |
‘09 |
‘10 |
수출입총액 |
18,185 |
20,502 |
25,152 |
28,529 |
32,084 |
30,653 |
40,903 |
對광동성 수출 |
14,074 |
16,038 |
20,384 |
22,559 |
22,995 |
22,395 |
30,969 |
對광동성 수입 |
4,111 |
4,464 |
4,768 |
5,970 |
9,089 |
8,258 |
9,934 |
* 자료 : 주중대한민국대사관(중국해관총서 통계기준으로 작성됨)
□ 한국의 對광동성 투자는 제조업 중심으로 이루어짐
ㅇ ‘10년 누계 기준 우리기업의 對광동성 투자는 1,849건, 20억불로각각 중국 전체 대중 투자(44천건, 456억불불, 신고기준)의 4.2%, 4.5% 비중 차지
ㅇ 투자업종 : 제조업(1,495건, 1,738백만불)이對광동성 투자의 85%를 차지, 그 다음으로는 도소매업(128건, 133백만불), 숙박 및 음식점업(33건, 11백만불),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23건, 5백만불)이 차지
< 한국의 對광동성 투자현황(신고기준) >
(금액 : 백만불 / 건수 : 수)
구 분 |
‘04 |
‘05 |
‘06 |
‘07 |
‘08 |
‘09 |
‘10 |
누계 |
|
투자 |
건수 |
189 |
188 |
164 |
164 |
153 |
145 |
144 |
1,849 |
금액 |
180 |
101 |
131 |
250 |
302 |
103 |
282 |
2,037 |
*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10년까지 누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