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무상 배임·부패방지법 위반 등 혐의로 피의자 소환 이재명, 서면 진술서 33장…검찰, 질문지 100장 넘게 준비

위례·대장동 개발 비리 수사의 '정점'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8일 '위례 신도시·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사건' 의혹과 관련해 서울중앙지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했다.
이 대표는 10시 22분께 청사 앞에 도착해 포토라인 앞에 선 채 A4 용지에 적힌 입장문을 읽어내려갔다. 자신이 선 곳을 "윤석열 검사 독재 정권이 법치주의와 헌정 질서를 파괴한 현장", "정적 제거를 위해 국가 권력을 사유화한 최악의 현장"이라 말했다.
이 대표는 과거 성남시장 시절 위례·대장동 개발 사업의 최종 결정권자로서 민간업자들에게 성남시나 성남도시개발공사의 내부 비밀을 흘려 그들이 막대한 이익을 챙기게 한 혐의를 받는다.
검찰은 이 같은 특혜를 통해 민간업자들이 대장동 사업에서 7천886억원, 위례신도시 사업에서 211억원 등 부당 이득을 챙긴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성남시 측은 대장동 사업에서 1천822억원의 확정 이익 외에 추가 이익을 얻지 못해 거액을 손해봤다는 게 검찰 판단이다.
검찰은 이 대표가 민간에 이익을 몰아주는 사업 구조를 최종 결정하고, 그 대가로 정진상 당시 정책비서관 등 측근을 통해 민간업자들에게 각종 선거 지원이나 자금을 조달받은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이 대표는 2021년 대장동 의혹이 불거졌을 때부터 사건의 '몸통'으로 지목됐다. 그러나 대선 국면이었고 더불어민주당 집권 시기였던 탓에 이 대표나 최측근에 대한 수사가 미진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지난해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후 검찰 지휘부와 수사팀이 전면 교체되면서 위례·대장동 의혹 수사는 새 국면을 맞았다. 1차 수사 당시 입을 닫은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등 사건 관계인들이 정권 교체 후 진술을 바꾼 것도 상황 변화의 요인이었다.
검찰은 위례·대장동 사업이 10년가량 진행된 만큼 A4 용지 100장이 넘는 질문지를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 역시 33장 분량의 서면 진술서를 준비했다고 한다.
1천여 명의 지지자들은 "정치검찰 타도하자" 등의 피켓을 들고 "이재명 대표를 끝까지 지켜냅시다" 등의 구호로 이 대표를 응원했고, 반대편에선 보수 성향 단체들이 맞불집회를 열어 "이재명을 구속하라"고 외쳤다.